loading
본문 바로가기
의학연구소

관절염 증상 결핵성 관절염

결핵성 관절염이란?


결핵성 관절염이란 결핵균(Mycobactrium tuberculosis)에 의해 발생하는 관절염입니다. 인터넷 상에서는 "관절 결핵"이라고 검색이 되고 있는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 결핵균에 감염되면 폐렴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혈액 등의 흐름을 틈타 관절로 파급될 수 있으며, 결핵성 관절염이 발생하게 됩니다.

결핵성관절염은 고관절이나 슬관절에서 발병하기 쉽고 척추카리에스나 폿병이라고 불리는 척추염은 척추 사이 관절의 전면에서 발생합니다. 또한 고령자나 면역 억제 상태에서 발병 위험이 높아집니다. 드물게 폰셋병이라고 불리는 결핵균에 대한 면역반응으로 반응성 관절염을 발생시킬 수도 있습니다.

결핵성 관절염은 반드시 폐와 관련된 증상을 동반하는 것은 아니며, 관절염에 의한 증상이나 검사상의 변화로부터 진단하기 어려운 것도 있습니다. 고령자의 이환율이 높기 때문에 선진국인 일본에서도 결핵균 감염 자체는 조우하는 질환입니다. 결핵이 발병해도 결핵성 관절염이 발병하는 것은 드물다고는 해도 그 존재를 항상 염두에 두면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핵성 관절염 원인


결핵성 관절염은 결핵균(Mycobactrium tuberculosis)이 관절을 침범하여 발병합니다. 결핵균이 감염되는 부위로는 폐가 많지만, 그 외에도 림프절 등이 있습니다. 이런 부위에 존재하는 결핵균이 혈액을 통해 관절에 들어가는 것으로 인해 결핵성 관절염이 발생합니다. 또한 반응성 균이 직접 관절에 감염되지 않고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덧붙여 결핵성 관절염은, 고령자나 면역 억제 상태(에이즈를 발병한 분이나 스테로이드등의 사용중)에서 발병할 리스크가 높아지는 일도 알려져 있습니다. 결핵성 관절염은 고관절과 무릎관절 등이 좋은 부위이지만, 어느 관절에서도 발생하며 손목, 팔꿈치, 손가락 등의 관절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결핵성 관절염 증상


결핵성 관절염은 세균을 원인으로 하는 관절염에 비해 병이 완만하게 진행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염증을 반영하여 관절의 통증을 자각하지만, 그 정도는 격렬하지 않고, 피부의 그것이라고 알 수 있는 염증 소견(부종이나 발적 등)도 그다지 강하지 않습니다.이는 진단이 늦어지는 것으로 이어집니다.

진행성과 잠재성으로 병세가 진행되는 결핵성 관절염은 결국 관절 파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황색 포도상 구균 등의 세균이 합병 감염을 할 수도 있고, 이 때에도 관절 파괴의 진행은 조장됩니다. 이러한 관절 파괴뿐만 아니라 통증에 의한 관절 가동 영역의 제한 등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염증이 생긴 관절은 정상 기능을 할 수 없게 되어 버립니다.

결핵성 관절염은 결핵에서 볼 수 있는 발열이나 체중 감소, 자땀 등의 전신 증상을 동반하기도 하고 동반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폐결핵과 관련하여 발병할 수도 있기 때문에 만성 기침이나 혈담 등의 호흡기 증상을 합병할 수도 있습니다.


결핵성 관절염 검사·진단


결핵성 관절염의 진단에서는 결핵 진단을 실시하는 것 외에 관절염의 상황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투베르쿨린 반응, 결핵균 인터페론-γ 측정 검사, 객담 검사, 위액 검사, 관절액 검사 등을 실시하여 배양과 PCR 방법에서 결핵균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합니다.

결핵성 관절염은 관절에 병변이 확산되는 질환이므로 병변 부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영상검사도 중요합니다. 엑스레이 사진으로는 병변의 변화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으므로 CT나 MRI로 관절의 변화나 뼈를 포함한 주위 조직에서의 병변의 파급 상황 등을 평가하게 됩니다.

결핵성 관절염 치료


결핵성 관절염은 항결핵약 사용을 중심으로 상황에 따른 수술 적응이 검토되지만 치료는 장기간에 걸쳐 진행됩니다. 우선, 이소니아지드, 리팜피신, 피라지나미드, 에탄부톨의 4제를 중심으로 2개월 정도의 초기치료를 시행하며 감수성에 따라 이후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피신의 병용을 더욱 지속합니다.

다만, 약의 부작용이 출현할 수도 있고, 연령이나 기초 질환의 유무 등에 따라서도 치료 방침은 다르기 때문에 질병이 발병한 환자에 맞는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내복약에 의한 치료가 효과가 어려운 경우나 관절 파괴가 강한 경우, 대량의 고름이 배설된 경우 등에 수술 적응이 검토되게 됩니다.

또한 결핵성 관절염은 활동성 폐결핵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에는 주위에 대한 감염 위험은 그다지 높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가래에 결핵이 배균되어 있을 때에는 음압실에서 관리할 필요성도 나옵니다. 그 때문에, 결핵의 활동도를 평가하는 것은 주위에의 감염 확대 리스크 관리상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의학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루병 증상  (0) 2020.10.06
뇌출혈의 초기증상  (0) 2020.10.05
골연화증의 증상  (0) 2020.10.04
수은 중독 증세  (0) 2020.10.03
노인 우울증 증상  (0) 2020.10.02

댓글